본문 바로가기

이른둥이 육아일기

조산후 알게 된 고위험산모 지원제도- 조건, 신청방법, 꼭 알아두기!

안녕하세요 :)
디지털노마드를 꿈꾸며

육아와 웨딩일을 병행 중인 ‘노마드수플’입니다.

 

오늘은 저처럼 조산을 경험하신 산모님들께

꼭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정보를 나눠보려 해요.
바로 “고위험산모 의료비 지원 제도”입니다.

 

 

 

 

🍼 제 이야기부터 잠깐 나눌게요

저는 올해 2월, 32주 5일 만에 이른둥이 이나를 출산했어요.
태명은 납뽁이였고, 1.6kg의 작은 몸으로 세상에 나왔죠.
출산 전 임신중독증 증상(고혈압, 심한 두통 등)이 나타났고,

결국 응급 입원 후 조산으로 이어졌어요.
이나는 약 한 달간 NICU에 입원했고,

저는 출산 후에도 며칠간 병원에 입원해 있었어요.

그 과정에서 병원비에 대한 부담이 컸지만,

다행히 '고위험산모 의료비 지원’이라는 제도가 있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.

 

 

 

고위험산모 의료비 지원이란?

국가에서 조산, 임신중독증, 조기진통 등 고위험 임신 질환을 겪은 산모에게
입원·치료·진료·약제 관련 비용 일부를 지원해주는 제도예요.

 

 

 

📌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
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산모는 신청 가능합니다:

  • 고위험 임신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를 받은 경우
    (예: 조산, 조기진통, 임신중독증, 양막의 조기파열, 태반조기박리 등)
  • 분만일 기준 6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함!
  • 소득 기준: 가구 건강보험료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

💡 지자체마다 소득 기준은 약간씩 다를 수 있으니 꼭 해당 보건소에 확인하세요.

 

 

 

 

💰 얼마나 지원되나요?

  • 비급여 진료비의 90%까지 지원
  • 1인당 최대 300만원 한도
  • 일부 항목은 제외되니, 병원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게 좋아요

저는 NICU 입원은 별도 항목이라 해당되지 않았고,
출산 전 입원비, 검사비, 약제비 일부가 지원 대상이었어요.

 

입원실 벽에 붙어있던 고위험산모지원안내서 직접 찍은 사진!

📝 신청 방법은요?

  1. 해당 지역 보건소 방문
  2. 아래 서류 준비
    • 진단서 (고위험 질환 명시)
    • 진료비 영수증 및 상세 내역서
    •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
    • 가족관계증명서 등
  3. 분만일로부터 6개월 이내 신청

주의할 점!
신청 기간이 6개월을 넘으면 자동으로 지원 대상에서 제외돼요.
저는 퇴원하고 한참 지나서 알게 됐는데, 정말 아슬아슬하게 신청할 수 있었어요.
되도록이면 퇴원 직후 빠르게 준비하시는 걸 추천드려요.

 

 

 

 

💡 수플의 꿀팁 체크리스트

  • 진단서 & 영수증 퇴원할 때 꼭 챙기기
  • 보건소 문의 후 신청 가능한 날 미리 예약
  • 서류는 우편 또는 팩스로도 제출 가능
  • 남편 직장 보험이면 해당 증명서도 함께 준비

 

 

❤️ 마무리하며

저처럼 갑작스럽게 조산하거나,

고위험 임신으로 힘들었던 분들…ㅠㅠ
누군가 알려줬다면

훨씬 덜 막막했을 텐데 싶었던 정보들이었어요.

 

현재는 이 글을 검색하신

모든 고위험산모분들께서 무사히 출산을 하셨을거라 믿고,
저 또한 아이와 건강하게 만날 수 있었단 사실에

얼마나 감사한지 몰라요!

 

이 글이 같은 경험을 하신 산모님들께 작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,

 


혹시 저의 대학병원 고위험산모실 3주입원비

더 궁금하신 부분 있으시면 이메일이나 댓글 남겨주세요!

 

📩 tnwls0412@gmail.com